The Brush Stroke that evokes the memory
Youngtaik Park (Art Critic and Kyonggi University Professor)


조진이- 기억을 소환하는 붓질
박영택 (경기대교수, 미술평론가)

 조진이의 회화는 필획과 색채로 충만한 추상회화이면서도 이들이 어우러져 부단히 자연풍경이나 특정 상황을 감각적으로 연상시키는 편이다. 그것은 구상과 추상 사이를 오가며 눈에 들어온 외계의 모든 것들을 회화적 언어, 자신의 충만한 감수성의 자취로 번안하려는 시도로 읽힌다. 작가는 삶의 동선 에서 마주한 모든 것들을 이른바 ‘회화적’으로 번역한다. 그것은 있는 그대로를 다시 환생/재현하는 일도 아니고-그것이 가능하지도 않지만-그렇다고 이와 무관한 그림도 아니다. 작가는 자신이 본 특정 대상에 고리를 건다. 물론 그 대상은 형언하기 어려운 정서적 감흥을 순간적으로 안긴 것일 수도 있고 느닷없이 통증을 동반하며 찌르고 박힌 것, 치명적인 상처처럼 남은 너무나 매혹적인 장면의 기억, 독특한 색채와 질감을 깊고 무겁게 남기고 사라진, 지금은 부재하는 것들이다. 분명 존재하기에 자신의 온 몸으로 보고 느꼈던 대상이지만 그 찰나적 경험은 이내 소멸되고 흩어진다. 그림은 바로 그 부재와 결핍의 자리에서 뒤늦게, 안타깝게 서식한다. 가슴과 의식에 먹먹하게 남은 ‘그것’(it)을 작가는 물감과 붓질에 의지해 더듬듯이 그린다. 모종의 순간을 직관적으로 떠낸다. 그것은 결코 복기될 수 없기에 그저 분위기, 흔적으로만 머뭇거리고 배회한다.

 집과 작업실을 오고가면서 보았던 아름다운 나무와 꽃들, 바람에 날리는 잎사귀들과 햇살에 뒤척이는 색채의 변화무쌍함, 새 소리, 몸에 감기는 바람의 느낌, 맑고 신선한 공기와 수시로 몸을 바꾸는 하늘! 사계절의 변화와 매순간 감정의 파고 속에서 다가오는 모든 것들은 익숙하면서도 매번 다르게 다가온다. 그런가하면 특정 색감을 매혹적으로 두르고 등장한 디저트(음식) 등도 조진이 작업의 모티프가 된다. 그 대상들은 가시적 존재이자 동시에 후각, 청각, 촉각 등을 자극하는, 총체적으로 몸에 다가와 감긴 것들이다. 그림은 눈이 아니라 몸이 접하고 느낀 반응의 통합적인 결과물이다. 조진이는 바로 그 몸이 체험한 기억과 감각을 그리고자 한다. 보는 이들 역시 그림을 통해 그러한 기억, 감각을 되살려보도록 권유한다. 그래서일까, 조진이의 붓질은 일정한 질감을 동반하면서 상당히 촉각적이고 속도감이 있다. 더듬고 싶은 붓의 놀림이고 자연에서 받은 감흥에 들뜬 마음의 결이 고스란히 전이되는 리듬감 있는 필획이다. 이 붓질의 속도는 문득 스쳐지나갔던 어느 순간의 기억을 떠올려주는, 건져 올리는 시간성이자 필을 운용하는 작가의 신체와 마음의 리듬을 보여주는, 정서의 진폭을 가시화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단호하고 결정적인 일획의 호흡이 느껴진다. 다분히 동양 모필의 운율적인 추이가 반영되고 있다는 느낌이다. 그 한 획이 마감되면서 동시에 잎사귀나 바람을 떠올려준다. 후경에 자리한 여러 붓질위로 선명하고 확고한 붓질이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교차하고 그로인해 평면의 화면은 공간감과 함께 아늑한 정서적 반향을 울려주는 깊이를 확보한다. 그러니 결정적인 것은 특정 대상에서 받은 기운, 느낌을 전달하는 붓질이 핵심적이다.
이 필획들은 화면 속에서 유연하고 활력적인 물고기의 유영을 연상시키면서 부유한다. 식물의 잎사귀이자 날렵한 붓질이고 특정 색감이자 두툼한 물감의 질료 사이를 현기증 나게 넘나든다. 그림은 구체적인 실제를 부단히 연상시키지만 동시에 그로부터 자꾸 달아나 이미지를 연상시켜주었던 물질 그 자체를 생생히 드러내기를 거듭하는 꼴이다. 해서 구체적인 이미지이자 물질, 몸짓이자 형상을 동시에 바라보고 있다.

 그림은 단지 화면에 그 무엇인가를 그리거나 물질의 연출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작가만의 특별한 감각을 물질화해서 얹혀놓는 일이자 화면이란 독립된 공간 안에 모종의 사건을 발생시키는 일이다. 조진이는 자신의 몸으로 받아들인 몸 바깥에 놓인 모든 것들을 물감(색)과 붓에 의지해 연출해놓았다. 그것은 자기 감각의 형상화이자 물질화이고 사라져버린 것들에 대한, 지나가버린 안타까운 감흥에 대한 소환의 성격을 지닌 사건의 재연이다. 자신의 몸과 정신으로 겪어낸 일상의 매 순간을 지속적으로 기억하는 일은 굳어지고 쇠락하는 감각의 밸브를 부단히 열어젖히는 행위이다. 살아있음을 매순간 환기하는 일이다. 그림이 그려져야 하는 절박한 이유다.



Jini Jo’s paintings are abstract. They are filled with strokes and colors that mingle with one another, seaming to ceaselessly remind the viewer of landscapes or specific moments in a sensuous way. Her work travels between the figurative and the abstract form trying to transform everything the eye sees even into the traces of its own full understanding with a pictorial language full of imagery. The artist ransformts everything she has encountered in her life painterly. Not necessarily to resurrect or reincarnate those moments, as that may not be possible, but still in a way to connect with them. The artist is captivated and hooked by specific subjects she sees. The subject may have cast, in a moment, emotional inspiration that is indescribable with words. The subject pierces you suddenly and is stuck, fixed in you along with pain. It is the memory of a fascinating scene that remains like a fatal wound. It does not exist now but leaves behind a unique color and texture. You know it existed since you saw it and felt it with your whole body. That brief experience, however, dissipated and dispersed soon after the moment. The painting arrives belatedly from a place of absence and deficiency, and wistfully inhabits in place of what has passed. Holding on to the paint, she strokes the brush as if groping for what is left on her heart and consciousness. She scoops up this obscure moment. Since it cannot be recreated, she only follows the traces of the impressions left in the atmosphere that lingers and wanders around it.

Jini Jo has seen many things while coming and going between home and the studio; the beautiful trees and flowers, leaves brown by the winds and its ever-changing color tossed and turned by sunshine, the songs of the birds, feeling of wind that surrounded her, the clear and fresh air, and the sky that constantly changes its texture. The seasonal changes that bring with them emotional shifts from moment to moment that seem familiar and yet also feel different all the time. Jini Jo will sometimes find desserts or other foods and wrap them in distinct colors as motifs for her paintings. Her subjects are not only visual, they also stimulate your sense of smell, your hearing, and sense of touch. They crawl up your body and wind around it enfolding you. The paintings are the integrated result of what your body feels and touches, not just what your eyes see. The artist is trying to paint the memories and senses that her body has experienced. She also encourages the viewers to revive those memories and senses through the paintings. Which may be why her brush strokes are so full of texture, to provide the viewer with a tactile experience that provides a sense of time and space. The brush strokes make the viewer want to touch and feel it. It is the rhythmic stroke that conveys the natural excitement and inspiration. The speed of her brush strokes reminds us of the sudden moments that have passed by some time ago and brings it all back to the present. At thesame time, the way the artist moves around the brush stroke shows the rhythm of body and soul. It visualizes the amplitude of emotion. We could sense the determined and decisive breath of stroke. Her strokes reflect the rhythmical shift of Asian paint brush. Every stroke lifts up as if the leaves are lifted by the wind. While maintaining its constant direction, the clear and firm strokes in the foreground cross with the strokes in the background. The painting acquires a depth that resonates with emotions. Hence, the decisive key is the brush strokes that deliver the emotion and energy from the specific subjects.

Jini Jo’s brush stroke in the painting floats and reminds us of fish’s flexible and vigorous swimming. The agile movements of her brush stokes reminds us of the leaves of the plants. As the detailed colors dizzyingly moves between thick paints. Her painting constantly recalls an abstract reality. At the same time, however, it repeatedly runs away from it and refuses to vividly show the subject the painting reminds us of in the first place. Hence, the viewer witnesses the figurative images and non-figurative body movement and shapes at the same time. The painting is not just something you draw on the canvas or the reproduction of materials. It is the materialization of an artist’s own emotions, creating a certain experience on a limited space called the canvas. With paints and brushes, Jini Jo recreated something outside of the body that her body has interacted with. It is the embodiment and materialization of her emotions. It is also the reenactment of the incident the brings back vanished things and aching feelings. Remembering each moment of life she is going through with her body and soul is the action that opens up the tight and rusty sensory valve which continues to stiffens and declines. It is a reminder of being alive each moment. This is the very reason why the paintings need to be done desperately.